수도 동파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수도 동파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동절기(12월~2월)에는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 수도관 등이 얼어버릴 수 있습니다.
수도관이 얼어버리면 물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세면, 취사, 입욕, 화장실, 세탁 등 고객님의 생활에 여러모로 문제가 발생함과 동시에 예상외의 시간과 비용 지출이 발생합니다.

혹한기에는 해동 작업을 의뢰하셔도 즉각 대응이 어려우므로, 일기 예보 등을 자주 확인하여 온도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면 미리 수도관, 보일러(급탕기) 등의 동파 예방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장기간 부재중에도 동파가 발생하기 쉬우니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동파 주의
동파 예방에는 아래와 같이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①수도관의 물빼기
수도관 내에 물이 없으면 얼지 않습니다.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거나 수도를 오랜 기간 쓰지 않는다면 꼭 수도관의 물을 빼주세요.
※동파 방지에는 「물빼기」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②물이 얼지 않도록 수도관을 보온하기
노출 부분을 보온 재료나 수건 등으로 보호하하여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수도 미터기 주변
수건이나 보온 재료 등을 미터기 박스 안에 넣어 미터기 주변의 수도관을 보온합니다.
(젖지 않도록 비닐봉지 등에 싸서 넣어주세요.)

●급탕기 주변
아래와 같이 빈 공간이 있으면 강한 냉기가 들어와 동파의 원인이 됩니다.
급수관이 노출된 부분을 수건 등으로 감싸서 보온해주세요.
※보온 테이프 등이 찢겨져 손상이 심하면 『문의 양식』 또는 서비스 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급탕기 본체(보일러 본체)에는 전기가 흐르므로 동파 예방이 되어 있습니다.
또한, 추운 지역의 일부 건물에는 밖의 급수관에 동결 방지용 히터(전열선)이 감싸져 있으므로, 동절기에는 절대로 전기 차단기(두꺼비집)을 내리시면 안됩니다.
●건물 내부
기온이 내려가면서 실내(주방, 욕실 등)의 수도관이나 수도꼭지 주변이 얼어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내 문을 열어서 실내 전체에 따뜻한 바람이 통하도록 해주세요. 수도꼭지나 급수관에 수건 등을 감싸 보온합니다.

③수도관 내의 물이 흐르도록 해주세요.
수도관 내의 물이 계속 흐르면 물이 잘 얼지 않습니다.
취침 전에 욕실 등의 수도꼭지에서 물을 조금만 흐르도록 하면 동파 예방이 될 수 있습니다.
※사용하신 만큼 수도 요금이 나올 수 있으므로 너무 많이 흐르지 않도록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뜨거운 물을 계속 틀어 놓으면 가스 안전장치가 작동할 수 있으므로, 뜨거운 물은 틀어놓지 않도록 해주세요. 링크
동파된 경우
●찬 물은 나오지만 뜨거운 물이 안나오는 경우
급탕기(보일러)의 급수관이 얼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급수관 부분을 타올 등으로 감싼 후 그 위에 천천히 뜨거운물(미지근한 물)을 뿌려주세요.
※너무 뜨거운 물을 뿌리면 관이 파열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급탕기 주변에 콘센트가 있으면 드라이기 등으로 따뜻하게 해주면 더욱더 효과적입니다.

③수도관 내의 물이 흐르도록 해주세요.
수도관 내의 물이 계속 흐르면 물이 잘 얼지 않습니다.
취침 전에 욕실 등의 수도꼭지에서 물을 조금만 흐르도록 하면 동파 예방이 될 수 있습니다.
※사용하신 만큼 수도 요금이 나올 수 있으므로 너무 많이 흐르지 않도록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뜨거운 물을 계속 틀어 놓으면 가스 안전장치가 작동할 수 있으므로, 뜨 거운 물은 틀어놓지 않도록 해주세요. 링크
동파된 경우
●찬 물은 나오지만 뜨거운 물이 안나오는 경우
급탕기(보일러)의 급수관이 얼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급수관 부분을 타올 등으로 감싼 후 그 위에 천천히 뜨거운물(미지근한 물)을 뿌려주세요.
※너무 뜨거운 물을 뿌리면 관이 파열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급탕기 주변에 콘센트가 있으면 드라이기 등으로 따뜻하게 해주면 더욱더 효과적입니다.

●찬 물도 뜨거운 물도 나오지 않는 경우
어디가 얼어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모든 작업을 해보셔야 합니다.
노출된 수도관 (수도미터기 주변 ・ 급탕기 주변) 또는 수도꼭지에 수건 등을 싸서 그 위에 천천히 뜨거운물(미지근한 물)을 뿌려주세요.
※너무 뜨거운 물을 뿌리면 관이 파열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또는 실내의 문을 열어 실내 전체에 따뜻한 바람이 통하도록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