レオパレス21

수도관 동파에 주의하세요

!

수도관 동파에 주의하세요

i

추위가 심한 동절기 (12월 ~ 2월)에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서 수도관이 얼기 쉽게 됩니다.

※특히 추위가 심한 밤이나, 방을 수일동안 비울 경우에도, 얼기 쉬우므로 반드시 물빼기 작업을 실시하여 주십시오.

 

수도관이 얼면 물을 사용할 수 없게되어, 세면, 취사, 입욕, 화장실, 세탁 등 고객님의 생활에 지장이 생김과 동시에, 예기치 못한 시간과 비용이 발생합니다.


심할 경우 해빙 작업을 의뢰받아도 당일 대응이 불가능하므로, 일기 예보를 자주 확인하시어 다음 날 아침에 기온 저하가 예상되면 수도관이나 급탕기의 동결 예방을 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아래 항목을 확인하여 주십시오.​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장소로 이동합니다.

【일반적인 물빼기 작업】

전동배수조작판이 있을 경우(홋카이도・토호쿠 지방 등)

・ 전동배수조작판이 없을 경우

1.배수전(부동전)이 실내에 있을 경우

2.배수전(부동전)이 실외에 있을 경우

【급탕기 물빼기 작업】

・ ​급탕기가 실내에 있을 경우

・ ​급탕기가 실외에 있을 경우

【기타:물빼기 작업】

홋카이도・토호쿠 지방

기타:물빼기 작업(홋카이도・토호쿠 지방)

추위가 심한 지역이므로, 일반적인 물빼기 작업과 다른 각 설비도 물을 빼주시기 바랍니다.

욕실・세면대

주방

화장실

온수 비데

세탁기

①물빼기 작업(홋카이도・토호쿠 등)

전동배수조작판은, 홋카이도・아오모리현・아키타현・이와테현・미야기현・야마가타현・후쿠시마현의 일부 건물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전동배수조작판은 주로 욕실 주변의 벽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①전동배수조작판의 조작 순서  전동배수조작판을 조작하여 「水抜」로 바꿉니다.

「押」버튼을 눌러 【通水】에서【水抜】로 바꿔주십시오.

(배수조작판은 급탕기・욕실 주변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 아래 ②급탕기 배수 순서

②​급탕기 배수 순서

급탕기 물빼기 작업이 필요합니다. 아래를 참고하여 주십시오.

급탕기가 실내에 있을 경우

급탕기가 실외에 있을 경우

②급탕기(실내에 설치된 경우)


조작 순서  

①실내의 물이 모두 멈춘 상태인지 확인한 후, 급수관 아래의 나사(배수전)를 풀어서 물을 뺍니다.

②물은 세면기 등으로 받아주십시오. (앞의 흰색 손잡이는 만지지 말아주십시오.)

※나사가 잘 풀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 라디오 펜치나 플라이어 렌치 등을 준비하여 주십시오.

②급탕기 (실외에 설치된 경우)

추운 계절에 급탕기의 물을 빼지 않으면 급탕기 배관의 물이 얼을 수 있습니다. 급탕기 배관의 물이 얼면 배관 안에서 팽창하여 얼음이 배관에 손상을 입히고 고장이 발생할 위험이 커지므로 물빼기 작업을 하여주시기 바랍니다.

※문을 여는 방법 ⇒ 확인하기

【 급탕기 물빼기 순서 】

① 급탕기 아래의 문을 엽니다. (급탕기 급수관이 격납되어 있습니다)


② 급탕기의 급수전을 잠급니다.


③ 급탕기 아래에 두 개의『배수전』을 열어줍니다.

※나사가 뻑뻑할 경우, 라디오 펜치나 플라이어 렌치 등을 사용하여 주십시오.


④ 배수전에서 급탕기 안에 있던 물이 나옵니다.


※물은 양동이・컵 같은 것으로 받아주십시오.


※물이 다 나오면, 반드시 배수전을 잠궈주십시오.

이상으로, 물빼기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실내 주방・욕실의 온수 수도꼭지를 열면 물이 완전이 빠집니다.

※​배수전이 열린 상태에서, 급탕기의 급수전을 열면 급탕기 아래에서 물이 분출되므로,​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욕실・세면대 【홋카이도・토호쿠 지방 등】


조작 순서  

  1. 수도꼭지를 열어서 물을 뺀 후, 배수전을 풀어서 물을 뺍니다.

  2. 나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나사를 풀어서 안의 물을 빼주십시오.

※나사가 뻑뻑한 경우가 있으므로, 라디오 펜치나 플라이어 렌치 등을 준비하여 주십시오.

※수전 종류에 따라 나사의 위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오이다키 욕조의 경우】

설치된 상품에 따라 예방 방법이 다르므로, 상세한 내용은 취급 설명서를 참고하여 주십시오.

  ①동결 예방 히터에 의한 예방  기기 본체에는 전기가 흐르므로, 전원 플러그를 꽂아 두는 것만으로도 보통 동결 예방이 됩니다.

또한, 한랭 지역의 일부 건물에서는, 바깥의 급수관에 동결 방지용 히터(전열선)를 감겨져 있을 수 있으므로, 동절기에는 절대 전기 차단기를 내리지 말아주십시오.

 

  ②펌프 운전에 의한 예방  온수가 남아 있을 때는, 욕조의 순환 어댑터에서 5cm이상 물을 담아 둡니다.

펌프로 욕조 안의 물을 순환시켜, 욕실 배관의 동결을 예방합니다.


주방【홋카이도・토호쿠 지방 등】


조작 순서

  1. 수도꼭지를 열어 물을 뺀 후, 주방 아래의 수납장 문을 열고, 배수전을 풀어서 물을 뺍니다.

  2. 아래에 나사가 있으므로, 나사를 풀어서 물을 뺍니다. 물은 세면기 등으로 받아주십시오.

※앞의 흰 손잡이는 손으로 만지지 말아주십시오.

※나사가 뻑뻑할 수 있으므로, 라디오 펜치나 플라이어 렌치 등을 준비하여 주십시오.

화장실【홋카이도・토호쿠 지방 등】

주변의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화장실 안을 따뜻하게 하거나 물을 빼어 동결 방지에 힘써주시기 바랍니다.


【 조작 순서 】  

레버를 몸 쪽으로 당긴 상태에서 흰 버튼을 누릅니다. 레버가 고정되어 물탱크 안의 물이 빠집니다.

 

  장기 부재시  장기 외출 시, 화장실 변기 안에 부동액(쿨런트)를 넣어 동결을 예방하여 주십시오.

또한, 온수 비데의 콘센트는 빼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변기 내의 동결 예방  변기 안에는 항상 물이 고여있어 하수관에서 악취나 해충 등이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합니다. (배수 트랩)

이 변기 안에 고인 물이 얼면, 변기(도기)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하지 않으실 경우, 변기 안에 부동액(쿨런트)를 넣는 등, 동결을 예방하여 주십시오.

※홋카이도에서는, 가까운 편의점에서도 부동액을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온수 비데【홋카이도・토호쿠 지방 등】

 ​온수 비데 물빼기

동결에 의한 파손 방지를 위해, ​장기간 사용하지 않으실 경우, 물빼기 작업을 하여 주십시오.

※설치된 제품에 따라 물을 빼는 방법이 다르므로, 자세한 내용은 취급 설명서를 참고하여 주십시오.

【  물빼기 순서 (참고 예시)】

①물탱크 안의 물을 뺍니다.

※ 화장실 물탱크의 물빼기

②보조 조작부의 [ノズルそうじ入/切](노즐 청소 켬/끔)을 눌러 제품 안의 물을 빼줍니다.


③급수 필터 배수전을 ー자 드라이버로 풀어준 후, 당겨서 뺍니다.


지수전을 열어둔 채로 급수 필터 배수전을 빼지 말아주십시오. ※물이 뿜어져 나옵니다.

 

④급수 호스를 급수 커플러에서 떼고, 앞 끝을 용기로 받습니다.


⑤한번 더 [ノズルそうじ入/切]를 눌러서 노즐을 원래대로 돌립니다.

 

⑥급수 호스를 T자 밸브의 급수 커플러에 끼웁니다.

(급수 커플러의 돌출부와 함몰부를 90゜비켜 놓습니다.)


⑦급수필터 배수전을 끼우고, ー자 드라이버로 확실하게 잠궈줍니다.

확실이 잠그지 않으면 물이 샐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주십시오.

 

⑧[運転 入/切](운전 켜짐/꺼짐)이 「入」으로 되어있는지 확인하고, 보조 조작부의 커버를 열고 변좌의 온도설정을 「高」(높음)으로 합니다.


세탁기【홋카이도・토호쿠 지방 등】

조작 순서  

수도꼭지에서 급수 호스를 빼고, 핸들을 돌려 물을 뺍니다. (물은 세면기 등으로 받아주십시오.)


※수도꼭지의 앞 끝에 아래 사진과 같은 부분이 있는 타입은 이 끝 부분을 눌러 물을 빼주십시오.


배수전(부동전)이 실내에 있을 경우

실내에 「전동배수조작판」이 없을 경우, 배수전의 밸브를 닫고, 수동으로 물빼기 작업을 합니다.

 

【실내의 배수전】

※수동의 배수전은 주로 화장실이나 세탁기 주변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사진은 샘플입니다. 배수전의 사양은 건물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아래를 참고하여, 물빼기 작업을 하여주십시오. ①각 장소의 배수전 핸들을 『 水抜 』(물빼기) 방향으로 돌립니다.

②주방・욕실의 수도꼭지를 열고, 물・온수를 뺍니다.

물을 뺄 때, 급수관에 설치된 밸브를 열면 물이 완전히 빠집니다.

【 욕실 】

수도꼭지 아래의 나사를 열고, 수도꼭지를 돌려 남은 물을 뺍니다.

※물을 뺀 후, 수도꼭지는 잠궈주십시오.


【 주방 】 수납 안에 있는 수도꼭지를 열고, 컵으로 물을 받습니다.

【 화장실 】

화장실 물을 내립니다.

(물탱크 안의 물이 빠집니다)


급탕기 물빼기 순서

급탕기 물빼기 작업도 필요합니다. 아래를 참고하여 주십시오.

급탕기가 실내에 있을 경우

급탕기가 실외에 있을 경우

①배수전(부동전)이 실외에 있을 경우

방의 바깥에 배수전(부동전)이 설치된 경우, 배수전의 밸브를 손으로 잠그고, 수동으로 물빼기 작업을 실시합니다.

다음날 아침에 추워질 것으로 예상되면, 수도관의 동결 방지를 위해 배수전(부동전)의 밸브를 잠그고 수도관의 물을 빼는 것을 권장합니다.

※배수전(부동전)은 주로 건물의 1층 통로 주변이나 베란다 쪽의 지면에 파란 원형의 뚜껑이 있고 그 안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①뚜껑을 열면 밸브가 있으므로, 閉める(止める) 방향으로 돌립니다.

밸브를 잠그면 물이 차단되고 수도관 안에 남은 물은 모두 빠집니다.


②주방・욕실의 수도꼭지를 열어 물을 뺍니다.

물이 빠지면 수도꼭지를 잠궈주십시오.


③화장실 물을 내립니다. (물탱크 안의 물이 빠집니다)
이상으로 물빼기 작업은 완료입니다.

물을 다시 사용할 때는, 모든 수도꼭지가 짐겨있는지 확인한 후에, 배수전을 「 開ける(出る)」 방향으로 돌려주십시오.


※물은 양동이・컵 등으로 받아주십시오.


※물이 다 빠지면 반드시 배수전을 잠궈주십시오.